올해 안산시에서 선발하는 9급 공무원 직렬(분야)와 선발 규모를 살펴보겠습니다.
2024년 안산시 9급 공무원 선발 인원은 총 52명입니다. 안산시의 인구수는 2023년말 기준으로 68만명입니다. 최근에 70만명에서 점차 감소하였습니다.

안산시 공무원 수는 2,336명입니다. 안산시 공무원 1인당 인구수는 최근 300명 수준에서 현재 290여명으로 하락하였습니다.
공무원 1인당 인구수는 업무에 별 의미없는 숫자일 수도 있습니다. 시민을 위한 통합 행정을 하기 때문에 인구가 조금 줄었다고 업무 자체가 없어지지는 않기 때문입니다.
2024년 안산시 9급 공무원 선발 인원을 직렬별로 구체적으로 살펴보겠습니다.
2024년 안산시 9급 공무원 선발 직렬
- 건축 2, 농업 1, 도시계획 2, 방송통신 2, 방재안전 1, 보건 1
- 사서 2, 사회복지 4, 사회복지(장애인) 1, 사회복지(저소득층) 1
- 세무 4, 수도토목 2, 수산 1, 전기 2, 축산 1, 토목 3
- 행정 18, 행정(장애인) 2, 행정(저소득층) 1, 화공 1
안산시 | 52명 |
건축 | 2명 |
농업 | 1명 |
도시계획 | 2명 |
방송통신 | 2명 |
방재안전 | 1명 |
보건 | 1명 |
사서 | 2명 |
사회복지 | 4명 |
사회복지(장애인) | 1명 |
사회복지(저소득층) | 1명 |
세무 | 4명 |
수도토목 | 2명 |
수산 | 1명 |
전기 | 2명 |
축산 | 1명 |
토목 | 3명 |
행정 | 18명 |
행정(장애인) | 2명 |
행정(저소득층) | 1명 |
화공 | 1명 |
2024년 안산시 9급 공무원 선발 직렬은 다양한 분야에서 선발하고 있습니다. 행정 9급을 포함해 16개 분야에서 신규 직원을 선발합니다.
안산시 행정 9급을 가장 많이 선발합니다. 총 21명을 선발하나, 안산시 조직 규모 대비 다른 지자체와 비교할 때 많이 뽑는 수준은 아닙니다.
특이한 직렬로는 수도토목 9급이 있습니다. 시설직군에 속하고, 토목 9급과는 또 다른 분야입니다. 토목 9급과 특별히 업무가 차이가 있는지는 자세하게 알지 못하지만, 상하수도 분야에 특화된 직류로 보입니다.
사회복지 9급도 6명을 선발합니다. 그 다음으로는 세무 9급 4명, 보건 9급 1명, 사서 9급 2명 등을 선발합니다.
축산 9급도 1명 선발하는데, 안산시가 시화공단을 주축으로 발전한 도시의 이미지가 있어 축산업을 하고 있는지 생소하지만, 축산 9급도 선발하고 있습니다.
다음으로는 최근 4년간 필기 합격선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2023년 안산시 직렬별 합격선, 경쟁률
2024년 안산시 9급 공무원 선발 계획과 관련하여 안산시에 응시하고 싶은 수험생이 있다면, 과거 필기 합격선을 미리 살펴보는 것도 하나의 전략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행정 9급, 토목 9급, 건축 9급 등 주요 직렬의 필기 합격선을 표의 연결 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2020~2023년 경기도 합격선 | 2020~2023년 경기도 합격선 | 2020~2023년 경기도 합격선 |
행정 9급 | 건축 9급 | 토목 9급 |
간호 8급 | 보건진료 8급 | 보건 9급 |
세무 9급 | 전산 9급 | 사서 9급 |
환경 9급 | 농업 9급 | 축산 9급 |
녹지 9급 | 조경 9급 | 그 외 직렬 |
기타 직렬에 대해서는 시험 통계자료(경기도 시험정보)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안산시청 근무 부서
2024년 안산시 9급 공무원 선발 시험에 붙으면 안산시청에서 근무할 수 있는 곳은 아래 조직도와 같습니다. 아래 부서 중 한곳에서 근무를 하게 되고, 직렬별로 고유 업무를 담당하는 부서로 발령 받게 됩니다.
안산시청에서 특징적인 부서라고 하면, 외국인주민지원본부가 있습니다. 외국인 근로자가 많아 관련 업무를 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안산시청
- 청년정책관, 시민협력관, 공보관, 홍보담당관, 전략사업관, 감사관
- 기획경제실 – 기획예산과, 의정법무과, 전략사업과, 소상공인지원과, 노동일자리과, 세정과, 징수과
- 문화체육관광국 – 문화관광과, 체육진흥과, 평생학습과, 위생정책과
- 복지국 – 복지정책과, 통합돌봄과, 노인복지과, 장애인복지과, 여성보육과, 아동권리과
- 도시주택국 – 도시계획과, 건축디자인과, 주택과, 녹지과, 공원과, 토지정보과
- 환경교통국 – 환경정책과, 에너지정책과, 자원순환과, 건설도로하천과, 철도교통과, 대중교통과
- 행정안전교육국 – 총무과, 시민안전과, 자치행정과, 교육청소년과, 회계과, 정보통신과
- 도시개발단 – 도시개발과, 시설건립과, 기반조성과
보건소
- 상록수보건소 – 보건정책과, 건강증진과
- 단원보건소 – 보건정책과, 건강증진과
사업소
- 농업기술센터 – 농업정책과, 농업기술지원과, 농수산물도매시장관리과
- 대부해양본부 – 대부개발과, 해양수산과
- 산업지원본부 – 산업진흥과, 기업지원과, 산단환경과
- 평생학습원
- 상하수도사업소 – 수도행정과, 수도시설과, 정수과, 하수과, 하수처리과
- 외국인주민지원본부 – 외국인주민행정과, 외국인주민지원과
- 중앙도서관 – 중앙도서관
- 감골도서관 – 감골도서관
- 차량등록사업소 – 차량등록사업소
- 도시정보센터
구청
- 상록구 – 행정지원과, 가로정비과, 민원봉사과, 세무과, 주민복지과, 환경위생과, 도시주택과, 도로교통과
- 단원구 – 행정지원과, 가로정비과, 민원봉사과, 세무1과, 세무2과, 주민복지과, 환경위생과, 도시주택과, 도로교통과
동사무소
- 일동, 이동, 사동, 사이동, 해양동, 본오1동, 본오2동, 본오3동, 부곡동, 월피동, 성포동, 반월동, 안산동
- 와동, 고잔동, 중앙동, 호수동, 원곡동, 백운동, 신길동, 초지동, 선부1동, 선부2동, 선부3동, 대부동